2008년 10월 31일 금요일

가구(架構)

가구(架構)

가구(架構)용어

*가구(架構) : '兩柱一衡謂之架'에서의 '架'와 구조라는 뜻의 '構'가 결합된 '집의 구조'를 의미하는 낱말

*고주오량(高柱五梁) :

⸁ 일고주오량(一高柱五梁) - 고주 하나를 세워 오량을 구성하는 방식
⸂ 이고주오량(二高柱五梁) - 고주 두 개를 써서 구성하는 방식으로, 들보 는 고주에서 합보하고 고주는 종보를 바로 받는다.
⸃ 소슬보 고주오량 -고주 를 마루도리까지 치켜 세우고 들보는 고주에서 합보하고 종보를 소슬로 하여 구성하는 기법으로,원초형 구성에서 볼 수 있다. 예컨대 진양군에 있는 살림집 의 헛간 고주의 유형을 들 수 있다.

*구량각(九樑閣) : 구량집(九樑架). 겹집일 때 스판(앞 뒤 기둥의 간사이)이 커서 칠량 으로는 물매의 경사가 급하게 잡히지 않을 경우에 도리 두 개를 더 사용하는 가구방식이다.

*굴도리 :도리가 둥근 나무로 만들어진 것으로, 민도리의 대칭. 굴도리의 옛 말은 구은 도리이다. 구은도리는 미(楣)라 하여 옛부터 살림집의 가구에 흔히 쓰이던 재 목이다.

*굴도리집 : 집을 구성하는 방식의 한 가지로, 굴도리.장여의 소로를 쓰는 고급 구성법 이다. 민도리집, 납도리집보다는 상급에 속한다.

*귓보(隅樑) : 귀기둥과 고주 사이에는 툇보의 한 가지로서, 보와 도리가 구성하는 90⁗각도에서 45⁗로 거는 귀의 보이다.

*대공(臺工) : 들보 위에 세워 중보를 받게 하는 짧은 기둥

*대들보(大樑) : 큰 들보라는 뜻에서 대들보라고 한다. ⸁통들보 ⸂합보.

기둥사이에 건너지르는 여러 개의 보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큰 보. 삼량집 에서는 이 큰 보만이 걸린다.

*도라거지 : 둥근 기둥이 얹는 보 머리를 도려내어 덮어씌우도록 하는 일. 도래거지

*도리(桁, 楣) : 기둥 위에 보를 걸고 보와 보 사이 보머리에 걸터 앉도록 건너지르는 둥글거나 모난 굵은 나무. 다듬어진 모양에 다라 굴도리, 민도리, 모진도리로 분류하는데, 위치에 따라 외목도리, 주심도리, 들도리, 빼도리, 퇴도리, 중도리, 종도리(마루도리), 적심도리로 나누어 부른다. 서까래를 걸도록 되어 있으며, 집에 따라서는 위치에 따라 모양이 다른 도리를 만들어 걸기도 한다.

*동자주(童子柱) : 동자석(童子石), 쪼꾸미, 짧게 만들어 쓰는 기둥. 가구에서는 들보 위 에 올려 세워 종보를 받도록 한다. 네모진 기둥처럼 만들기도 하고 달리 장식 되기도 하는데, 동자돌기둥은 난간등에 쓰인다. 동자주(童子柱), 주유(侏儒)

*뜬창방 : 뜬도리. 들보 위의 동자주나 대공에 끼우는 창방처럼 생긴 나무로서, 별창방 이라고도 한다.

*들도리 : 서까래를 받도록 된 도리 중 제일 끝에 거는 것으로, 주심도리나 외목도리, 마루도리(宗道里)와 구분하여 일컫는 명칭이다.

*들보(樑) : 대들보, 뜀보. 지붕의 하중을 떠받치는 굵은 나무로, 기둥과 기둥을 건너지 른다. 들보와 들보 사이를 한 간이라 하며, 도리간이라 부른다.

*마루대공 : 종보 중앙에 놓여 종도리를 받는 나무로, 제형판재(梯形板材)나 동자주, 기 타의 여러가지 모양으로 되며 화반이 되기도 한다. 좌우로 소슬합장이 장치되 기도 한다.

*마루도리 : 종도리, 제일 높은 데 있는 도리

*마루보(宗樑) : 오량집 이상의 가구에서 들보 위로 걸리게 된 짧은 보

*맞보 : 고주의 전후로 나누어 걸리는 들보. 합보

*메뚜기 : 메뚜기 대가리. 도리가 구르지 못하도록 보나 살미에 얹은 작은 나무.

*멍에창방 : 누마루나 이층집에서 기둥 밑을 받치는 굵은 나무로, 이층건물의 아래층 서까래 뒤축을 받치게 되어 있다.

*민거지 : 기둥 넓이와 보머리 넓이를 같게 하기 위해 다듬는 일

*민도리 : 납도리. 모지게 다듬은 도리.

*빼도리 : 맞배집에서 바깥 기둥 밖으로 훨씬 내민 도리. 뺄도리. 뺄목

*뺄목 : 빼도리. 창방, 평방의 끝머리.

*뻐침퇴보(繫樑) : 퇴보의 한 가지

*보(樑) : 들보의 준말

*보뺄목 : 보의 끝머리

*보아지 : 들보르 받는 첨자처럼 생긴 나무. 양봉(樑奉)

*복화반(覆花盤) : 화반의 한 가지. 꽃 모양이나 잎 모양의 것이 거꾸로 되도록 만든 것.

*산방 : 갈모산방의 준말. 선자서까래를 구성시켜 주는 도리 위의 받침대

*상투걸이 : 보머리를 기둥에 덮어 씌우고 기둥에 만들어진 상투에 도리를 걸어 교정 시키는 구조 방식

*상투기둥 : 기둥머리에 뾰족한 상투 모양의 촉을 만든 것. 보와 도리가 함께 걸린다.

*상투집 : 상투걸이법을 써서 지은 집으로, 원초형에서 볼 수 있다. 지금도 초가나 부 속건물들에서 응용되는 기법이다.

*소량(小樑) : 종보(宗樑), 복(挎). 칠량집에서라면 하중보가 이에 해당한다.

*소마거지 : 네모기둥에 내려 짜는 보와 보머리가 기둥 폭 보다 굵을 때 라도 기둥머 리가 좌우에서 살아나 보이도록 보머리를 궁글리어 깎는 기법. 소매거지. 걷 이.

*소슬 : ⸁∧형. 합장형. 고대의 창방과 도리받침 장여 사이 거풍에 소로 받쳐 설치하 는 것. ⸂종보를 ∧자형으로 구성하는 것. ⸃도리 좌우에 소슬을 대어 합장시 키는 것.

*소슬대공 : 마루대공의 한 가지. 포대공 등으로 받침도리와 종도리를 떠받게 하고 그 좌우에 소슬을 합장시켜 도리가 동요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소슬화반 : 소슬의 ⸁에 해당함. 고구려시대 고분벽화 등에서 볼 수 있다.

*양봉(樑奉) : 보아지. 사갈한 기둥머리에 보가 짜일 때 주도리 받침 장여의 높이와 같 게 보밑으로 짜 넣어 보를 받게 된 짧은 각재(角材). 장식이 없는 것과 장식이 있는 것의 두가지 종류가 있다. 고급건축에서는 대부분 초각(草刻)되거나 쇠서 로 장식된다.

*오량가(五梁架) : 도리 다섯으로 지붕 골격을 구성한 집.

*외목도리 : ⸁주심포집에서 기둥 밖의 공포에 떠받쳐 있는 맨 끝자리의 도리.
⸂다포집에서 출목 끝자리의 도리.

*우미량 : 짧은 퇴보를 배훌치기 해서 반쪽 홍예처럼 만든 것.

*자꺾음장예 : 거절(擧折). 가구의 비례구성.

*장여 : 도리를 받치는 폭이 좁고, 운두가 높은 각재. 집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척이 여 기에 있다.

*장예 : ⸁가구에서의 서까래 각도. 이 각도에 따라 삼분변작(三分變作). 사분변작(四分 變作)이 성립된다. '세치자꺾음장예'니 '다섯치자꺾음장예'니 하는 단위를 쓴다. 세치물매. 다섯치물매라고도 한다. ⸂장여의 딴 말

*장화반(長花盤) : 이익공(二翼工)집에서 꽃모양을 새긴 초방(草枋).

*접시대공 : 소로 받친 동자주.

*종대공(宗臺工) : 마루대공

*종량 :종보. 제일 윗쪽에 있는 보.

*종도리 : 제일 높은 자리에 있는 도리

*주심도리 : 기둥 위에 놓인 도리.

*중도리 : 주도리와 종도리 사이에 있는 도리들.

*중종보 : 들보 위에 이층으로 걸린 보.

*집우새 : 소슬각 뒤쪽을 보강한 널빤지.

*충량(衝樑) : 옆에 선 기둥머리에서 들보를 향해 건 보.

*칠량집 : 칠량가(七樑家)

*퇴량(退樑) : 퇴간에 얹은 보.

*파련대공(波蓮臺工) : 마루대공의 한 가지

*파련각 : 대공 등에 새김질한 연꽃무늬

*포대공 : 들보나 종보 위에 포작처럼 꾸민 대공. 고급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나, 살림집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형(桁) : 항(배다리). 항(착고). 도리를 말하며, 보간을 말하기도 한다. 현재 '정면 몇 간'하는 '정면'에 해당하는 것이다.

*홍예보(虹樑) : 바닥을 걷어내어 깎은 보 다듬는 기법. 또는 그렇게 다듬은 보.

*화반(花盤) : 꽃으로 장식한 버티는 판재(板材). 때로 동물 형상을 초각하기도 한다.

한국건축은 오랜 세월 동안 목조가구식(木造架構式)구조체계를 발전시켜 왔다. 가구식이라고 하는 것은 기둥과 보 및 도리를 기본적인 부재로 하여 부재를 서로 결구 시켜 만드는 방식을 말한다.

가구(架構)란 집을 만드는 뼈대의 얽기를 말하는데, 특히 기둥에서 종도리까지 목구조로 형성된 모든 부분을 의미하는 말이된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는 기둥 상부에서 도리까지의 지붕을 받기 위한 부분만을 가구라 하기도 한다.

가구도

3량집(三樑架)은 목조가구식 체계중 가장 작은 규모의 간단한 형식이다. 즉 앞뒤 기둥에 주심도리를 얹고 보를 건너지른 다음에 보 중앙에 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올리고 양쪽으로 서까래를 얹은 집이다.

3량집은 서민주택과 중상류주택의 행랑, 그리고 왕궁의 익사와 행랑 및 대문 등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건물에 사용되었다.

3량집


4량집(四樑架)은 실제로는 기본적인 가구체계의 한 유형이라기 보다는 변형된 형식으로 나타난 일종의 변종이라고 할 수 있다.

4량집에는 고주사량과 평사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주사량은 3량가에 툇간을 덧달아 낸 것으로 3량가의 변형으로 '반3량'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 구성은 3량집의 구성에 전면이나 후면으로 툇기둥 하나를 두고 이 툇기둥 사이에 퇴량(툇보)을 연결한다. 일반 서민주택에서 많이 사용된 가구법이다.

평사량은 전후의 평주상부에 전후 두개의 대공을 두어 도리를 받도록 한 구조로 종도리를 사용하지 않은 특수한 형식의 가구이다.



1고주4량


평4량

5량집(五樑架)은 일반 한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이다. 주심도리와 종도리 사이에 중도리가 하나 더 걸리는 구조이다. 대들보위에 종보가 있고 종보 중간에 대공을 놓고 대공위에 종도리, 종보 양쪽에 중도리, 대들보 양쪽에 주심도리를 올린 구조로 종도리와 중도리에 단연이 걸리고 중도리와

주심도리에 장연이 걸리는 구조이다.

같은 5량집이라도 기둥의 배열에 따라서 3종류 정도로 세분된다. 고주의 사용에 따라 구분하는데 무고주5량, 1고주5량, 2고주5량이 그것이다.

무고주5량


1고주5량


2고주5량


7량집(七樑架) 이상은 일반 살림집에는 거의 없고 사찰이나 궁궐 등의 큰 건물에서 주로 이용되었다.

7량 정도면 규모가 꽤 크기 때문에 앞뒤 평주를 하나의 대들보로 연결하는 2평주7량집의 구조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7량집에서는 앞뒤로 퇴칸이 있는 2고주7량집이 대부분이다. 나주향교 대성전, 수원화성 화령전 드이 2고주7량가에 속한다. 다음으로 많은 것은 1고주7량집이다. 봉정사 극락전의 어칸가구와 지림사 대적광전, 금산사 대적광전이 여기에 속한다. 그리고 봉정사 극락전 측면가구처럼 정가운데 심주가 서고 양쪽으로 고주와 평주가 서는 심고주7량집이 있는데 흔하지는 않다.


1고주7량

2고주7량


9량집(九樑架)이상은 매우 보기 어렵다. 9량집은 전후의 평주 사이에 상부로 네 단의 보가 중첩된 구조이다. 즉 7량가의 구조에서 한 단의 보와 도리를 더 사용한 것이다.

네 단으로 중첩된 보 중에서 대들보와 종보 사이에 위치한 두 단의 보는 역시 중보라고 부르는데, 중보 중 상부의 것을 상중보(上中樑), 하부의 것을 하중보(下中樑)라 부른다.

도리 역시 주심도리와 종도리 사이에 위치한 세 단의 도리로 모두 중도리라 부르고 더욱 세분하여 위에서 부터 상중(上中)도리, 중중(中中)도리, 하중(下中)도리로 부른다. 9량집은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목조건축에서 가장 큰 규모의 가구형식으로 궁궐이나 사찰등 중요한 건축의 가장 커다란 규모의 전각에 사용되었다.


2고주9량

도리의 위치는 지붕의 물매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래서 도리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이를 변작법이라고 한다.

중국의 북송대에서는 이를 거절(擧折) 또는 거가(擧袈)라고 하였다. 주심도리 혹은 최외곽 도리인 처마도리와 종도리를 기준으로 하여 종도리 바로 아래의 도리에서 부터 내려오면서 각 도리의 수평, 수직위치를 잡아 나간다. 청대에서는 거의 동일한 방식이지만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그 위치를 잡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와는 좀 다른 방식이다.

우리나라에서는 5량가를 기준으로 할 때 '3분변작'과 '4분변작'이라고 하는 두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3분변작은 대들보의 길이를 3등분한 위치에 전후의 동자주를 두고 여기에 도리를 놓는 방법을 말한다. 도리의 높이는 건물의 규모에 따라 적당한 위치로 한다. 4분변작은 대들보를 네 등분하여 전후에 동자주를 두고 도리를 놓는 방법이다. 따라서 도리에 의한 지붕의 물매는 중국건축에 비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5량가의 변작법

변작법과 서까래(장연)
(4분변작법에서는 a>b의 우려가 있음)

도리(道里)는 구조부재 중에서 가장 위에 놓이는 부재로 서까래를 받는다.

가구구조를 표현하는 기준이 되며 도리의 높낮이에 따라 지붕물매가 결정된다. 지붕의 하중이 최초로 전해지는 곳이 도리이며 도리에 전해진 하중은 보와 기둥으로 전달된다.

도리는 어떤 형식의 건물에도 존재하는 부재이며 그 단면형상에 따라 원형도리를 굴도리, 방형도리를 납도리라고 부른다.

조선시대에는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사상이 있어서 원을 양성으로 남성에, 방을 음성으로 여성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래서 창덕궁 연경당의 경우에는 내행랑채의 남성이 드나드는 문에는 굴도리를 사용했고, 여성이 드나드는 문에는 납도리를 사용한 실례도 있다.

도리는 또 위치에 따라서도 명칭이 달라진다. 가장 높은 곳인 용마루에 놓이는 도리를 종도리(宗道里, 마루도리)라고 하고, 건물외곽의 외진평주 위에 놓이는 도리를 주심도리(柱心道里)또는 처마도리라고 한다. 3량집에서는 주심도리와 종도리만 있으면 되지만, 5량집인 경우에는 주심도리와 종도리 중간에 하나의 도리가 더 걸리게 된다 이것을 가운데 있다고 하여 중도리(中道里)라고 한다. 7량집에서는 중도리 위아래로 도리가 하나씩 더 놓이는데 이때는 중도리를 기준으로 위에 것을 상중도리(上中道里), 밑에 것을 하중도리(下中道里)라고 한다. 포작계열의 집에서는 출목이 생기므로 출목 위에도 도리가 올라간다. 때로는 주심열의 도리를 생략하고 출목 위에만 도리를 두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출목 위에 놓이는 도리를 출목도리(出目道里)라고 하고 내외로 출목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구분하여 외출목도리를 외목도리(外目道里), 내출목도리를 내목도리(內目道里)라고도 한다.

댓글 없음: